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7. 고양이의 스크래치 고양이가 스크래칭을 하는 이유는 단순하게 발톱을 정리하는구나 라는 생각을 하였다. 하지만 고양이들을 보면 스크래칭하는데 문제행동이 많이 만들어 지고 있다. 이는 왜 그러는 것일까라는 생각을 하게한다. 단지 고양이의 취향때문인 것은 아닐까 하는 단순한 생각도 해보았다. 이는 우리가 고양이의 욕구와 동기에 대해 몰라서 그러는 것이다. 이제부터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다. 스크래칭을 하는 이유 ㅁ 발톱을 건강하게 유지 스크래처 주변을 자세히 살펴보면 발톱에서 떨어져 나간 각질을 볼 수 있을 것이다. ㅁ 어깨근육의 스트레칭 스크래칭할때 몸을 스크래치에 기대어 쭉 피는 것을 볼 수있다. ㅁ 마킹행동 스크래칭을 할때 발톱으로 긁는데 이것은 생존본능을 기반으로한 표식을 남기는 것이다. 그 표식은 다른 고양이에게 경고를.. 더보기
#16. 고양이가 먹으면 위험한 식물 고양이와 같이 생활할 경우 고양이들이 먹지 말아야 할 식물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고양이는 육식동물인데 식물도 먹나요?라고 물어보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고양이들이 풀을 먹는 이유 ㅁ그루밍으로 삼켜버린 털들 토해내기 그런데 이 털을 소화를 시키지 못하거나 배변으로 배출을 시키지 못하면 위에 불편함을 느낍니다. 그리하여 식물을 먹어 그 털들을 바깥으로 배출을 하려고 먹는 것입니다. ㅁ고기에 함유되어 있지 않은 영양소의 섭취 식물에는 고기에는 없는 영야 소 '엽산' 이 들어 있어 영양소 섭취를 위해 식물을 먹습니다. 이런 이유들로 육식동물이기에 치열도 고기를 뜯는데 좋도록 되어 있지만 식물을 먹는 모습을 보면 정말 사랑스럽습니다. 그리고 식물을 그냥 먹었을 때와 천연 에센셜 오일을 활용하는 것은 또 다른 것입.. 더보기
#15. 고양이들간의 서열이 있을까요? 오늘은 우리가 항상 듣기는 하나 검증되지 않은 고양이들 간의 서열에 대해서 이야기하려 합니다. 우리나라에서의 사전적 의미의 서열이란? " 일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늘어섬 "을 말한다. 무리 생활을 하는 동물에게서나 보이는 서열이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고양이에게 존재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해볼 수 있다. 하지만 많은 고양이들이 모여 사는 걸 관찰해보면 대장 역할을 하는 고양이도 있어 보이고 소심한 고양이도 있어 정말 고양이에게도 서열이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이제부터 우리는 고양이들의 서열에 관해 하나씩 풀어보도록 할 것이다. ㅁ서열 싸움에 관여하지 말아라 고양이들이 처음 만나게 되면 하악질을 하면서 서로를 탐색합니다. 아이들이 탐색과정이 없어지면 서로를 알아갈 기회가 없어집니다. 그러.. 더보기
#14. 고양이 소리로 말해요 고양이들의 다양한 "야옹" 소리에 대해 연구를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고 여러 방면으로 연구 중에 있다고 한다. 고양이의 언어를 이해하려면 고양이와 집 사간에 유대감이 있어야 할 것이다. 고양이들의 소리는 고양이들 간의 소통보다는 사람과의 대화를 하려 할 때 나오는 소리들이 많다. 고양이가 집사에서 "야옹" 할때는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한다. 배가 고픈건 아닌지, 놀아달라고 하는 것인지, 그냥 야옹 한 것인지 말이다 지능이 더 높은 고양이 같은 경우에는 배고 고프면 밥그릇 옆에서, 놀고 싶다면 장난감이 있는 곳에서 야옹 할 것이다. 이 처럼 도도하게 앉아만 있을 것 같은 고양이도 자기표현을 한다. 대표적인 고양이들의 소리를 알아볼 것이다. ㅁ갸르릉거리기 고양이의 가르랑 소리를 처음 들었을 때는 어.. 더보기
#13. 고양이도 훈련이 가능할까요? 유튜브에서 우연히 고양이 훈련 영상을 본 적이 있었다. 그래서 랑이와 또또에게도 시도를 해보았다. 여러 번 시도한 결과 내가 느낀 점은 고양이는 생각보다 똑똑하다는 점과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지만 훈련의 결과가 아주 만족스럽다는 것이었다. 훈련 영상을 찍어 주변인들에게 보여주니 다들 똑같이 하는 말은 고양이도 이런 훈련이 가능하냐는 물음이었다. 처음 영상을 접할 때까지만 해도 나도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 내가 했던 훈련은 손을 달라는 훈련이었다. 가장 기초적인 훈련부터 시작해서 간식을 줄 때 기다려까지 훈련을 마스터했다. 더 많은 걸 하고 싶지만 차근차근히 하면 될 것이다. 저희 집에는 고양이들의 화장실이 베란다에 놓았다. 겨울은 화장실 때문에 문을 열어놔야 해서 항.. 더보기
#12. 고양이 몸으로 말해요. 고양이들을 보면 독립적이며 개와 달리 무리를 지어 생활하지 않지만 다른 고양이들과도 잘 어울린다. 짝짓기를 위한 것 만이 아닌 사회생활을 하기 위한 것이다. 고양이들의 의사소통은 굉장히 정교하며 복잡하지만 정확한 의사소통으로 기본적으로 표현을 잘 알아챌 수만 있다면 고양이의 말과 감정을 의미를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고양이의 대화 통로를 나누자면 눈, 수염, 귀, 입, 꼬리, 자세, 크기 나눌 수 있다. 이 중 머리,귀,눈,수염을 살펴보면 고양이의 감정 상태에 대해서 알 수 있다. ㅁ눈 눈은 고양이와의 소통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랑이와 또또를 반려하고 난후 랑이와 눈이 마주쳤을 때 나는 시선을 떼지 않고 계속 바라보았던 적이 있었다. 사람으로 보자면 계속 바라보는 건 그 사람에.. 더보기
#11. 독립적인 고양이들의 더불어 사는 훈련 - 두 번째 오늘은 고양이들의 서열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랑이와 또또를 보고 이 두 고양이들 사이에 랑이가 항상 장난감이나 영역을 정할 때 밀리는 통에 또또의 서열이 더 높은 것인가?!라는 생각을 했고, 서열에 상관없이 두 고양이가 잘 지냈으면 좋겠다는 마음에 영역 공유하기.. 등에 관해서 많이 찾아보았으나 별 다른 해결책을 찾지 못했었던 기억이 있다. 그리하여 이번엔 영역동물이기도 하며 개인적으로 활동을 하는 고양이 간의 서열이 있는지가 궁금하여 그것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우리들이 얘기 하기를 고양이들의 잦은 싸움은 서열이 잡히지 않아서이다. 또는 고양이들의 서열싸움 싸는데 말리면 안 된다.라는 말을 하기도 합니다. 서열을 잡는다는 것은 싸움을 잘하는 고양이가 여기선 내가 싸움을 제일 잘하고 너는 .. 더보기
#10. 독립적인 고양이들의 더불어 사는 훈련 - 첫 번째 오늘은 독립적인 고양이들의 더불어 사는 훈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외동 묘를 반려하는 집보다는 2마리 이상 다묘 가정이 많습니다. 이렇게 다묘가정일 경우 새로운 고양이가 들어오면 모든 고양이들이 항상 긴장하며 새 고양이를 맞이하고 있다. 저희 집에는 랑이와 또또 두 마리인데 처음 합사 시도를 아주 어렸을 때 해서 그런지 가끔 투닥거리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잘 지내는 편이다. 고양이 관련 TV를 시청하다 다묘 가정일 경우에는 한 마리씩 따로 놀아줘야 한다고 하여 나도 그렇게 실천을 하고 있긴 하지만 쉽지 않다. 랑이를 데리고 방으로 가서 문을 닫고 놀아주려고 하면 잠깐은 잘 놀다가 밖에서 또또의 울음소리를 들으면 그대로 멈춰 아무리 낚싯대를 흔들어도 놀 생각은 하지 않고 문 앞에 가.. 더보기